권순구
국어 권순구

[해법문학] 고전 시가 : 고2 필수 작품

학년 : 고1, 고2, 고3 가격 : 80,000원
Ⅰ. 상고 시대
강의 목차
강의 강의명 페이지 강의시간
1

[고대가요] 공무도하가(백수 광부의 아내)

28~29 10 분
2

[고대가요] 구지가(구간 등)

30~31 10 분
3

[고대가요] 황조가(유리왕)

32~33 10 분
4

[고대가요] 해가(작자 미상)

34~35 10 분
5

[향가] 서동요(서동)

38~39 10 분
6

[향가] 모죽지랑가(득오)

40~41 11 분
7

[향가] 헌화가(견우 노인)

42~43 10 분
8

[향가] 찬기파랑가(충담사)

46~47 11 분
9

[향가] 도솔가(월명사)

48~49 10 분
10

[향가] 처용가(처용)

50~51 10 분
11

[향가] 원왕생가(광덕)

52 10 분
12

[향가] 안민가(충담사)

53 10 분
13

[한시] 여수장우중문시(을지문덕)

54~55 9 분
14

[한시] 야청도의성(양태사)

56~57 9 분
15

[한시] 촉규화(최치원)

58~59 9 분
16

[한시] 추야우중(최치원)

60~61 10 분
Ⅱ. 고려 시대
강의 목차
강의 강의명 페이지 강의시간
17

[고려 가요] 동동(작자 미상)

72~75 11 분
18

[고려 가요] 서경별곡(작자 미상)

76~77 11 분
19

[고려 가요] 정과정(정서)

78~79 9 분
20

[고려 가요] 정석가(작자 미상)

80~81 10 분
21

[경기체가] 한림별곡(한림 제유)

88~89 10 분
22

[경기체가] 한림별곡 3,4,6,7장(한림 제유)

90~91 10 분
23

[경기체가] 관동별곡(안축)

91 9 분
24

[시조_한탄과 애상] 백설이 잦아진 골에(이색)

92~93 10 분
25

[시조_한탄과 애상] 춘산에 눈 녹인 바람(우탁)

92~93 9 분
26

[시조] 한 손에 막대 잡고(우탁)

96 10 분
27

[시조] 구름이 무심탄 말이(이존오)

96 9 분
28

[시조] 가마귀 싸우는 골에(정몽주의 어머니)

97 9 분
29

[시조] 가마귀 검다하고(이직)

97 10 분
30

[한시] 설중방우인불우(이규보)

100~101 10 분
31

[한시] 사리화(이제현)

102~103 10 분
Ⅲ. 조선 전기
강의 목차
강의 강의명 페이지 강의시간
32

[악장] 신도가(정도전)

118 10 분
33

[악장] 월인천강지곡(세종)

119 11 분
34

[언해] 강촌(두보)

120~121 10 분
35

[언해] 등악양루(두보)

122~123 10 분
36

[시조_망국의 슬픔과 무상함] 오백년 도읍지를(길재)

126~127 10 분
37

[시조_망국의 슬픔과 무상함] 흥망이 유수하기(원천석)

126~127 9 분
38

[시조_망국의 슬픔과 무상함] 선인교 나린 물이(정도전)

126~127 10 분
39

[시조_지조와 충절①] 수양산 바라보며(성삼문)

128~129 9 분
40

[시조_지조와 충절②] 가마귀 눈비 맞아(박팽년)

130~131 10 분
41

[시조_지조와 충절②] 풍상이 섯거 친 날에(송순)

130~131 9 분
42

[시조_사대부의 연군] 방 안에 혓는 촛불(이개)

132~133 10 분
43

[시조_사대부의 연군] 내 마음 버혀 내여(정철)

132~133 5 분
44

[시조_자연을 누리는 삶] 추강에 밤이 드니(월산 대군)

134~135 10 분
45

[시조_자연을 누리는 삶] 대초 볼 붉은 골에(황희)

134~135 10 분
46

[시조_사랑과 그리움②] 어져 내 일이야(황진이)

138~139 5 분
47

[시조_사랑과 그리움②] 이화우 흩뿌릴 제(계랑)

138~139 5 분
48

[시조_풍류와 취락] 재 너머 성권롱 집에(정철)

140~141 10 분
49

[시조_풍류와 취락] 한 잔 먹새 그려(정철)

140~141 10 분
50

[시조_연시조] 도산십이곡(이황)

146~147 9 분
51

[시조_연시조] 고산구곡가(이이)

148~149 9 분
52

[시조] 삭품은 나무 끝에 불고(김종서)

152 10 분
53

[시조] 오륜가(주세붕)

153 10 분
54

[시조] 두류산 양단수를(조식)

154 9 분
55

[시조] 말 없는 청산이오(성혼)

154 9 분
56

[시조] 청량산 육륙봉을(이황)

155 10 분
57

[시조] 마음이 어린 후니(서경덕)

155 9 분
58

[가사] 면앙정가(송순)

162~165 10 분
59

[가사] 사미인곡(정철)

172~175 10 분
60

[가사] 규원가(허난설헌)

180~183 11 분
61

[한시] 만보(이황)

184~185 9 분
62

[한시] 곡자(허난설헌)

189 10 분
Ⅳ. 조선 후기
강의 목차
강의 강의명 페이지 강의시간
63

[시조_사대부의 시름과 그 승화] 아침은 비 오더니(신흠)

198 5 분
64

[시조_전원생활의 즐거움] 곡구롱 우는 소리에(오경화)

200~201 5 분
65

[시조_자연에 대한 사랑①] 백구야 말 무러보쟈(김천택)

202 5 분
66

[시조_임을 기다리는 마음①] 어이 못 오던가(작자 미상)

208~209 10 분
67

[시조_임의 부재로 인한 슬픔] 나모도 바히돌도 업슨(작자 미상)

212~213 10 분
68

[시조_임을 기다리는 마음②] 귀또리 저 귀또리(작자 미상)

210~211 10 분
69

[시조_삶의 고뇌와 시름①] 싀어마님 며느리가 낫바(작자 미상)

214~215 11 분
70

[시조_삶의 고뇌와 시름②] 한숨아 셰 한숨아(작자 미상)

216~217 10 분
71

[시조_삶의 고뇌와 시름②] 봄이 왔다 하되(신흠)

216~217 5 분
72

[시조_해학과 풍자①] 댁들에 동난지이 사오(작자 미상)

218~219 10 분
73

[시조_해학과 풍자②] 일신이 사쟈 한이(작자 미상)

220~221 9 분
74

[시조_그리운 마음] 반중 조홍감이(박인로)

222~223 9 분
75

[연시조] 어부사시사(윤선도)

230~231 10 분
76

[시조] 꿈에 다니는 길이(이명한)

235 10 분
77

[시조] 산촌에 눈이 오니(신흠)

238 9 분
78

[시조] 사랑이 거즛말이(김상용)

239 9 분
79

[시조] 님그려 겨오 든 잠에(작자 미상)

240 9 분
80

[가사] 선상탄(박인로)

242~245 10 분
81

[가사] 누항사(박인로)

246~249 11 분
82

[가사] 만언사(안조환)

254~257 9 분
83

[가사] 연행가(홍순학)

258~259 9 분
84

[가사] 농가월령가(정학유)

270 10 분
85

[가사] 우부가(작자 미상)

271 9 분
86

[민요] 진도 아리랑(작자 미상)

280~281 9 분
87

[민요] 사할린 본조 아리랑(작자 미상)

282~283 9 분
88

[민요] 옹헤야(작자 미상)

284 4 분
89

[민요] 해녀 노래(작자 미상)

285 4 분
90

[민요] 서도 아리랑(작자 미상)

286 4 분
91

[한시] 요양의 달(허균)

286~287 9 분
92

[한시] 보리타작(정약용)

288~289 9 분
93

[한시] 자술(이옥봉)

292~293 9 분
94

[한시] 송파에서 시를 주고받으며(정약용)

298~299 10 분
95

[한시] 절명시(황현)

300~301 10 분
96

[한시] 사친시(김만중)

303 5 분
97

[한시] 탐진촌요(정약용)

304 10 분
Ⅴ. 세계 문학
강의 목차
강의 강의명 페이지 강의시간
98

산중문답(이백)

309 5 분
99

춘야희우(두보)

310 9 분
100

동곡칠가 4(두보)

311 9 분
101

춘망사(두보)

311 4 분
102

곤산으로 돌아가며 배 안에서 짓는다(응우엔 짜이)

312 9 분
103

시간의 사악한 손길로(셰익스피어)

312 10 분
104

아름다워라, 태풍이(요사 부손)

313 5 분
105

제비꽃(괴테)

314 9 분
위로 이동 공유하기
공유하기
URL을 누르시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.

m.mid.milkt.co.kr/URL

팝업 닫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