강의 | 강의명 | 페이지 | 강의시간 |
---|---|---|---|
1 | 1. 왜 문학인가-누군가 나에게 물었다(김종삼) |
8~9 | 24 분 |
2 | 1. 왜 문학인가-이름 없는 꽃(신경준) |
10~12 | 34 분 |
3 | 1. 왜 문학인가-미스터 방(채만식)① |
13~15 | 36 분 |
4 | 1. 왜 문학인가-미스터 방(채만식)② |
16~17 | 31 분 |
5 | 대단원 평가 |
18~22 | 30 분 |
강의 | 강의명 | 페이지 | 강의시간 |
---|---|---|---|
6 | 1. 문학의 내용과 형식-낙화(조지훈) |
24~26 | 33 분 |
7 | 1. 문학의 내용과 형식-병신과 머저리(이청준)① |
27~29 | 34 분 |
8 | 1. 문학의 내용과 형식-병신과 머저리(이청준)② |
30~31 | 29 분 |
9 | 1. 문학의 내용과 형식-병신과 머저리(이청준)③ |
32~33 | 33 분 |
10 | 1. 문학의 내용과 형식-파수꾼(이강백)① |
34~36 | 29 분 |
11 | 1. 문학의 내용과 형식-파수꾼(이강백)② |
37~38 | 32 분 |
12 | 1. 문학의 내용과 형식-존재의 테이블(나희덕) |
39~41 | 27 분 |
13 | 2. 문학 작품의 수용과 생산-농무(신경림) |
42~43 | 29 분 |
14 | 2. 문학 작품의 수용과 생산-조웅전(작자 미상)① |
44~46 | 43 분 |
15 | 2. 문학 작품의 수용과 생산-조웅전(작자 미상)② |
46~48 | 39 분 |
16 | 2. 문학 작품의 수용과 생산-처삼촌 묘 벌초하기(성석제) |
49~51 | 29 분 |
17 | 3. 문학 지평의 확대-진달래 꽃(김소월)/소월에게 묻기를(박창학, 윤상) |
52~53 | 29 분 |
18 | 3. 문학 지평의 확대-완장(윤흥길)① |
54~55 | 23 분 |
19 | 3. 문학 지평의 확대-완장(윤흥길)② |
55~57 | 26 분 |
20 | 3. 문학 지평의 확대-완장(윤흥길)③ |
57~58 | 27 분 |
21 | 3. 문학 지평의 확대-노인과 바다(헤밍웨이 원작, 페트로프 연출) |
59~60 | 21 분 |
22 | 대단원 평가① |
61~65 | 29 분 |
23 | 대단원 평가② |
66~70 | 31 분 |
강의 | 강의명 | 페이지 | 강의시간 |
---|---|---|---|
24 | 한국 문학이란 무엇인가 |
72~76 | 43 분 |
25 | 1. 선사 시대~고려 시대의 문학-구지가와 가락국기(작자 미상) |
77~80 | 35 분 |
26 | 1. 선사 시대~고려 시대의 문학-제망매가(월명사) |
81~82 | 31 분 |
27 | 1. 선사 시대~고려 시대의 문학-서경별곡(작자 미상) |
83~84 | 30 분 |
28 | 2. 조선 시대의 문학-이생규장전(김시습)① |
85~87 | 37 분 |
29 | 2. 조선 시대의 문학-이생규장전(김시습)② |
88~90 | 33 분 |
30 | 2. 조선 시대의 문학-속미인곡(정철)① |
91~92 | 25 분 |
31 | 2. 조선 시대의 문학-속미인곡(정철)② |
93 | 36 분 |
32 | 2. 조선 시대의 문학-시조 세 편 |
94~95 | 32 분 |
33 | 2. 조선 시대의 문학-흥보가(작자 미상)① |
96~97 | 26 분 |
34 | 2. 조선 시대의 문학-흥보가(작자 미상)② |
98~99 | 34 분 |
35 | 3. 개화기~전후의 문학-만세전(염상섭)① |
100~101 | 37 분 |
36 | 3. 개화기~전후의 문학-만세전(염상섭)② |
102~104 | 33 분 |
37 | 3. 개화기~전후의 문학-만세전(염상섭)③ |
105~017 | 38 분 |
38 | 3. 개화기~전후의 문학-여우난골족(백석) |
108~109 | 36 분 |
39 | 3. 개화기~전후의 문학-꽃(이육사) |
110~111 | 30 분 |
40 | 3. 개화기~전후의 문학-불모지(차범석)① |
112~113 | 27 분 |
41 | 3. 개화기~전후의 문학-불모지(차범석)② |
114~115 | 32 분 |
42 | 4. 1960년대 이후의 문학-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(신동엽) |
116~118 | 29 분 |
43 | 4. 1960년대 이후의 문학-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(조세희)① |
119~121 | 29 분 |
44 | 4. 1960년대 이후의 문학-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(조세희)② |
121~123 | 31 분 |
45 | 4. 1960년대 이후의 문학-우리 동네 구자명 씨(고정희) |
124~125 | 26 분 |
46 | 4. 1960년대 이후의 문학-도도한 생활(김애란)① |
126~127 | 29 분 |
47 | 4. 1960년대 이후의 문학-도도한 생활(김애란)② |
128~129 | 30 분 |
48 | 대단원 평가① |
130~139 | 46 분 |
49 | 대단원 평가② |
140~148 | 38 분 |
강의 | 강의명 | 페이지 | 강의시간 |
---|---|---|---|
50 | 1. 성찰과 소통으로서의 문학-쉽게 씌어진 시(윤동주) |
150~152 | 35 분 |
51 | 1. 성찰과 소통으로서의 문학-해산 바가지(박완서)① |
153~155 | 29 분 |
52 | 1. 성찰과 소통으로서의 문학-해산 바가지(박완서)② |
156~159 | 47 분 |
53 | 2. 삶과 문화로서의 문학-버팀목에 대하여(복효근) |
160~161 | 25 분 |
54 | 2. 삶과 문화로서의 문학-광문자전(박지원) |
162~165 | 48 분 |
55 | 대단원 평가 |
166~170 | 28 분 |
강의 | 강의명 | 페이지 | 강의시간 |
---|---|---|---|
56 | 1. 문학의 본질 |
20 분 | |
57 | 2. 문학의 수용과 생산 ① |
25 분 | |
58 | 2. 문학의 수용과 생산 ② |
25 분 | |
59 | 3. 한국 문학의 이해 ① |
24 분 | |
60 | 3. 한국 문학의 이해 ② |
27 분 | |
61 | 4. 문학의 생활화 |
27 분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