강의 | 강의명 | 페이지 | 강의시간 |
---|---|---|---|
1 | 집합과 원소 |
6 | 9 분 |
2 | 집합의 표현 방법 |
7~8 | 8 분 |
3 | 원소의 개수에 따른 집합의 분류 |
8 | 6 분 |
4 | 유한집합의 원소의 개수 |
9 | 7 분 |
5 | 부분집합 |
9 | 7 분 |
6 | 집합속의 집합 |
10 | 7 분 |
7 | A⊂B일 때, 미지수의 값 구하기 |
11~12 | 9 분 |
8 | 서로 같은 집합 |
14 | 8 분 |
9 | 진부분집합의 개수 |
14 | 7 분 |
10 | 특정한 원소를 포함하는 부분집합의 개수 |
15 | 7 분 |
11 | 특정한 원소를 포함하지 않는 부분집합의 개수 |
15 | 8 분 |
12 | 특정한 원소 p는 반드시 포함하고 q는 포함하지 않는 부분집합의 개수 |
16 | 7 분 |
강의 | 강의명 | 페이지 | 강의시간 |
---|---|---|---|
13 | 교집합과 합집합 |
19 | 9 분 |
14 | 서로소 |
20 | 7 분 |
15 | 여집합과 차집합 |
20~21 | 7 분 |
16 | 합집합과 교집합의 성질 |
21 | 7 분 |
17 | 여집합과 차집합의 성질 |
22 | 7 분 |
18 | 같은 의미 다른 표현 |
23 | 8 분 |
19 | 집합의 연산과 부분집합의 개수 |
23 | 8 분 |
20 | 교환법칙과 결합법칙 |
24 | 6 분 |
21 | 분배법칙 |
25 | 7 분 |
22 | 드모르간의 법칙 |
26 | 8 분 |
23 | 집합 간단히 하기 |
28 | 7 분 |
24 | 집합의 연산법칙과 집합의 포함 관계 |
29 | 7 분 |
25 | 합집합과 여집합의 원소의 개수 |
30 | 8 분 |
26 | 차집합의 원소의 개수 |
31 | 7 분 |
27 | n(A∪B∪C) |
31 | 7 분 |
28 | 교집합과 합집합의 원소의 개수의 활용 |
32 | 7 분 |
29 | 여집합의 원소의 개수의 활용 |
32 | 7 분 |
강의 | 강의명 | 페이지 | 강의시간 |
---|---|---|---|
30 | 명제와 조건 |
35 | 7 분 |
31 | 진리집합 |
36 | 7 분 |
32 | 조건 ‘p또는 q’, ‘p이고 q’의 진리집합 |
37 | 7 분 |
33 | 명제와 조건의 부정 |
38~39 | 8 분 |
34 | ‘모든’이나 ‘어떤’이 들어있는 명제 |
40 | 7 분 |
35 | ‘모든’이나 ‘어떤’이 들어있는 명제의 부정 |
41 | 8 분 |
36 | 명제 p->q |
41 | 7 분 |
37 | 명제 p->q의 참, 거짓 |
42 | 10 분 |
38 | 거짓인 명제의 반례 |
43 | 7 분 |
39 | 명제의 역과 대우 |
44 | 7 분 |
40 | 명제와 그 대우의 참, 거짓의 관계 |
45 | 7 분 |
41 | 삼단논법 |
45 | 6 분 |
강의 | 강의명 | 페이지 | 강의시간 |
---|---|---|---|
42 | 충분조건과 필요조건 |
48 | 9 분 |
43 | 충분조건, 필요조건과 진리집합의 포함 관계 |
49 | 6 분 |
44 | 충분조건이 되게 하는 미정계수 구하기 |
50 | 7 분 |
45 | 필요조건이 되게 하는 미정계수 구하기 |
51 | 7 분 |
46 | 두 수의 대소비교 |
52 | 8 분 |
47 | 절대부등식 |
53 | 8 분 |
48 |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 |
54~56 | 10 분 |
49 |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의 활용 |
56 | 7 분 |
50 | 코시-슈바르츠의 부등식 |
57 | 7 분 |
51 | 대우를 이용한 명제의 증명 |
57~58 | 8 분 |
52 | 귀류법을 이용한 명제의 증명 |
58 | 7 분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