강의 | 강의명 | 페이지 | 강의시간 |
---|---|---|---|
1 | 선사 문화의 전개와 국가의 등장 |
12~13 | 48 분 |
2 | 고조선의 성장 |
14~15 | 33 분 |
3 | 여러 나라의 성장 |
14~15 | 40 분 |
4 | 고대 국가로 발전한 삼국 ① |
20~21 | 35 분 |
5 | 고대 국가로 발전한 삼국 ② |
20~21 | 31 분 |
6 | 삼국의 항쟁 |
22~23 | 39 분 |
7 | 고구려의 대외 항쟁과 신라의 삼국 통일 |
22~23 | 39 분 |
8 | 통일 신라의 발전 ① |
24~25 | 34 분 |
9 | 통일 신라의 발전 ② |
24~25 | 23 분 |
10 | 발해의 건국과 발전 |
24~25 | 28 분 |
11 | 고대 사회의 종교와 사상 ① |
32~35 | 35 분 |
12 | 고대 사회의 종교와 사상 ② |
32~35 | 28 분 |
13 | 고려의 건국과 통치 체제의 정비 ① |
40~41 | 33 분 |
14 | 고려의 건국과 통치 체제의 정비 ② |
40~41 | 30 분 |
15 | 고려 전기의 대외 관계 |
42~43 | 30 분 |
16 | 문벌 사회의 갈등과 무신 정권의 성립 |
42~43 | 38 분 |
17 | 몽골의 침략과 고려 후기의 정치 변동 ① |
44~45 | 38 분 |
18 | 몽골의 침략과 고려 후기의 정치 변동 ② |
44~45 | 37 분 |
19 | 고려의 사회와 사상 ① |
54~57 | 35 분 |
20 | 고려의 사회와 사상 ② |
54~57 | 28 분 |
21 | 조선의 건국과 통치 체제의 정비 ① |
62~63 | 31 분 |
22 | 조선의 건국과 통치 체제의 정비 ② |
62~63 | 54 분 |
23 | 정치 운영의 변화 ① |
64~65 | 37 분 |
24 | 정치 운영의 변화 ② |
64~65 | 37 분 |
25 | 국제 질서의 변동과 조선의 대외 관계 ① |
66~67 | 38 분 |
26 | 국제 질서의 변동과 조선의 대외 관계 ② |
66~67 | 36 분 |
27 | 양반 신분제 사회와 상품 화폐 경제 ① |
76~81 | 39 분 |
28 | 양반 신분제 사회와 상품 화폐 경제 ② |
76~81 | 44 분 |
29 | 양반 신분제 사회와 상품 화폐 경제 ③ |
76~81 | 43 분 |
강의 | 강의명 | 페이지 | 강의시간 |
---|---|---|---|
30 | 서구 열강의 동아시아 접근 |
92~93 | 32 분 |
31 |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치 |
92~93 | 36 분 |
32 | 통상 수교 거부 정책과 양요의 발발 |
94~95 | 32 분 |
33 | 문호 개방과 개화 정책의 추진 ① |
102~103 | 34 분 |
34 | 문호 개방과 개화 정책의 추진 ② |
102~103 | 29 분 |
35 | 위정척사 운동과 임오군란 |
104~105 | 35 분 |
36 | 개화파의 분화와 갑신정변 |
104~105 | 34 분 |
37 | 동학 농민 운동 |
114~115 | 40 분 |
38 | 갑오개혁 |
116~117 | 39 분 |
39 | 독립 협회와 대한 제국 |
118~119 | 45 분 |
40 | 러·일 전쟁과 일본의 국권 침탈 |
130~131 | 32 분 |
41 | 독도와 간도 |
130~131 | 23 분 |
42 | 항일 의병 운동과 의열 투쟁의 전개 |
132~133 | 35 분 |
43 | 애국 계몽 운동 |
132~133 | 36 분 |
44 | 개항 이후 열강의 경제적 침략과 경제적 구국 운동 ① |
140~141 | 36 분 |
45 | 개항 이후 열강의 경제적 침략과 경제적 구국 운동 ② |
140~141 | 23 분 |
46 | 근대 문물의 수용 |
142~143 | 25 분 |
47 | 근대 의식의 확대 |
142~145 | 48 분 |
48 | 문예와 종교의 변화 및 국외 이주 동포의 삶 |
144~145 | 25 분 |
강의 | 강의명 | 페이지 | 강의시간 |
---|---|---|---|
49 | 제1차 세계 대전과 국제 정세의 변화 |
154~155 | 26 분 |
50 | 1910년대 일제의 무단 통치와 식민지 수탈 체제의 확립 |
154~157 | 37 분 |
51 | 1920년대 일제의 민족 분열 통치와 경제 수탈의 확대 |
156~157 | 39 분 |
52 | 1910년대 국내외 독립 운동과 3·1 운동 |
164~167 | 50 분 |
53 | 대한민국 임시 정부 |
166~167 | 30 분 |
54 | 무장 투쟁과 의열 투쟁 |
174~175 | 52 분 |
55 | 민족 운동의 분화와 실력 양성 운동 ① |
176~177 | 26 분 |
56 | 민족 운동의 분화와 실력 양성 운동 ② |
176~177 | 23 분 |
57 | 학생 항일 운동 |
178~179 | 25 분 |
58 | 민족 유일당 운동과 신간회 |
178~179 | 25 분 |
59 | 사회·문화의 변화와 사회 운동 ① |
186~189 | 39 분 |
60 | 사회·문화의 변화와 사회 운동 ② |
186~189 | 36 분 |
61 | 사회·문화의 변화와 사회 운동 ③ |
186~189 | 28 분 |
62 | 대공황과 제2차 세계 대전 |
194~195 | 22 분 |
63 | 전시 동원 체제와 민족 말살 통치 |
194~195 | 25 분 |
64 | 광복을 위한 노력 ① |
196~197 | 43 분 |
65 | 광복을 위한 노력 ② |
196~197 | 35 분 |
강의 | 강의명 | 페이지 | 강의시간 |
---|---|---|---|
66 | 냉전 체제의 형성과 그 영향 |
206~207 | 22 분 |
67 | 8·15 광복과 국토 분단 |
206~207 | 26 분 |
68 | 통일 정부 수립을 위한 노력 |
208~209 | 31 분 |
69 |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새 정부의 과제 |
216~217 | 33 분 |
70 | 6·25 전쟁과 남북한의 변화 |
218~219 | 35 분 |
71 | 4·19 혁명과 장면 내각의 수립 |
226~227 | 24 분 |
72 | 5·16 군사 정변과 민주주의의 시련 |
226~229 | 48 분 |
73 | 신군부의 등장과 5·18 민주화 운동 |
228~229 | 26 분 |
74 | 경제 성장과 사회·문화의 변화 ① |
236~239 | 30 분 |
75 | 경제 성장과 사회·문화의 변화 ② |
236~239 | 29 분 |
76 | 6월 민주 항쟁과 민주주의의 진전 |
244~245 | 48 분 |
77 | 다양한 사회 운동과 시민 사회의 성장 |
246~247 | 20 분 |
78 | 외환 위기와 현대 사회의 과제 |
252~255 | 33 분 |
79 | 북한 사회의 변화 |
254~255 | 21 분 |
80 | 남북 화해를 위한 노력 |
256~257 | 31 분 |
81 |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노력 |
256~257 | 29 분 |